주식시장 버블인가? 공포탐욕지수, 쉴러 PE Raito

2020. 7. 16. 06:56주식 재테크

반응형

미국증시가 연일 뜨겁다. 가라앉을만 하면 미 연준 (Fed)의 강력한 달러를 풀어 지지함으로써 지칠줄 모르고 상승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실물 경기는 살아나지 못함에도 증시만 달궈지는 현 상황에 대한 우려와 함께 버블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주식시장에 버블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탐욕과 공포지수, 쉴러 PE Ratio를 통해 미국증시 및 국내 주식시장이 버블인가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주식시장이 버블인가,를 알아보는 몇 가지 지표가 있는데 그 중 대표적으로 공포 앤 탐욕 지수 (Fear & Greed Index)와 경기조정 주가수익비율 (Shiller PE Ratio)를 들 수 있을 것이다.

 

7월 15일 미국증시 마감 현황 (한국 시간 기준, 7월 16일)

다우존스

26,870.10 포인트

0.85% 상승

S&P 500

3,226.56 포인트

0.91% 상승

나스닥

10,550.49 포인트

0.59% 상승

 

공포 탐욕 지수 (Fear & Greed Index)

어제 기준으로 공포, 탐욕지수는 62를 기록중이었다. 오늘 상승했으니 여기서 조금 더 올랐을 것으로 보인다.

 

공포, 탐욕지수는 50 Neutral (중립) 상태에서 Greed로 가면 시장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욕심을 내고 있다고 보고 Fear로 가면 투자자들이 공포에 사로잡혀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럼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하락폭이 컸던 올해 3월을 상기해보도록 하겠다.

 

2020년 3월 공포탐욕지수는 20이하로 떨어졌다. 시장 참여자들 대부분이 공포에 떨며 추가 하락에 몸살을 앓던 때이다. 이처럼 주가가 하락할 때는 공포가 커지며 상승할 때는 열기로 인해 탐욕 지수가 올라가는 것이다.

 

현재 탐욕 지수는 60을 넘어섰다. 트럼프 대통령 시절에는 탐욕지수가 60을 훌쩍 넘어서 80 이상을 기록한 적이 두 번이나 있는데 이 점은 쉴러 교수의 경기조정 주가수익비율 (PE Ratio)에서 다시 한 번 언급하도록 하겠다.

 

 

로버트 쉴러는 야성적 충동이라는 용어를 써서 주식시장과 주택시장의 버블을 설명하였는데 이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예일대 교수다.

 

미국 주식시장이 크게 하락한 몇 번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경기가 과열됐을 때 평균치로 회귀한다고 보는데 이를 가르켜 경기조정 주가수익비율이라고 부른다. 한마디로 시장은 야성적 충동으로 인해 과열현상 (버블)을 띄지만 어느 시점에서 시장의 본연의 상태로 회귀함을 나타내는 지표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첫째로는 대폭락 이후 상승으로 전환하는 속도가 2000년 이전에 비해 이후로 무척 빨라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로는 2007, 08년 세계금융위기 때에 비해 현재의 PE Ratio가 더 높다는 점이다.

 

공포 탐욕 지수 (Fear & Greed Index)와 쉴러 교수의 PE Ratio는 모두 S&P 500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그러므로 나스닥 시장으로 보면 버블 지표는 더 높다는 점을 간과하면 안 된다. 그럼 국내 주식시장은 어떨까? 국내증시는 세계 경제 흐름에 가장 민감하게 움직이기에 굳이 따로 언급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미국증시의 버블에 대해 쉴러 교수는 어떤 평가를 내렸을지에 대해 2019년 12월 연말 CNBC와 인터뷰한 내용을 인용하도록 하겠다.

 

https://www.cnbc.com/2019/12/22/robert-shiller-trump-effect-could-drive-record-rally-through-2020.html

 

Robert Shiller: A Trump effect could drive the record market rally through 2020

'I put Trump as the primary cause of the recent strength in the market,' Nobel-prize winning economist Robert Shiller says.

www.cnbc.com

 

그에 의하면 현재의 버블 수준은 트럼프 대통령 효과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증시의 상승은 2020년까지 가능할 것으로 봤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되면 미 증시의 버블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봤다.

 

앞서 언급했지만 시장의 대표적 지표는 버블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S&P 500 기준이기에 나스닥으로 적용한다면 기술주들의 버블은 더 심각한 수준일것이다. 하지만 미국 트럼프 대통령 자체가 소비의 아이콘이며 야성적 충동을 일으키는 동기부여의 강점을 지니고 있어 사람들에게 소비 욕구를 불러 일으킨다고 봤다.

 

미 연준 (Fed)의 달러 풀기와 트럼프 효과가 결국 이번 버블을 만들고 있는데 그 누구도 붕괴 시점을 알 수는 없을 것이다. 다만 시장이 전해주는 위험성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11월 3일 (화요일)이다. 이 날 유권자들은 선거인단을 선출하고 12월 14일 (월요일) 대통령을 선출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