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 자산 가치 하락의 시대 - 당신의 선택은?

2020. 12. 20. 20:25주식 재테크

반응형

 

2007년에서 2008년에 일어난 세계금융위기 이후 정부의 유동성 완화 조치는 현금 가치를 하락시켜 실질 자산 가치 하락을 이끌어냈다. 몇 년 사이 급등한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벼락거지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을 정도다.

 

또한 코로나 19 이후 주식시장에서 폭발적인 상승이 일어났다. 이런 시기에 투자를 하지 않고 가만히 현금을 들고 있거나 은행에 예적금만 가진 분들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은 분명 엄청날 것이다. 무엇보다 내 월급은 그대로인데 돈의 가치는 형편없어 진다는 불안감이 점점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문제는 코로나 이후 각국 정부의 돈풀기는 언제 끝낼지 과연 끝낼 수나 있을지 누구도 모르는 상황이 되었다. 많은 금융 전문가는 이제 금리인상은 도저히 불가능한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말하고 있다.

 

돈을 푼다 인플레이션 상승
돈을 푼다 부동산, 주식시장 버블
돈을 푼다 소프트랜딩 (soft landing)
돈을 푼다 부의 양극화, 실업률 상승

 

현재 세계 각국 정부는 돈을 풀어서 경기를 부양하고 있다. 이미 2007년, 08년도에 돈을 풀어 경기악화를 막아낸 바 있기에 현재 재정정책은 최선은 아니지만 차선이라는 인식이 무척 강하다. 문제는 이미 10년도 넘게 돈을 풀고 있는데 2018년도에 금리를 인상하려는 시도를 한 바 있다는 것이다.

 

이 때 주식시장이 크게 요동치며 하락한 바 있는데 미국 및 각국 정부는 금리인상을 서두르면 안 된다,는 것을 이 때 배우게 된다. 이러다 2019년 코로나 19가 터지며 재정정책은 무한 돈풀기 양적완화의 딜레마에 계속 빠져들게 된다.

 

돈을 풀면 경제가 돌아간다는 것은 이제 마법공식이나 수학공식처럼 굳어 버렸다. 이렇게 돈을 풀 때 마다 꼬리표로 따라오는게 바로 인플레이션과 부동산 버블 및 주식시장의 버블이다. 하지만 각국 정부가 꿈꾸는 건 아마도 완만한 소프트랜딩이 아닐까 싶다.

 

 

문제는 정부가 돈을 풀면 그 돈은 어디로 가는가,에 있을 것이다. 사실 정부 입장에서 보면 통계적으로는 돈을 푸는게 마법공식처럼 모든게 완벽해 보인다. 최소한 경제는 디플레이션에 빠지지 않았고 성장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또한 빠르게 일어나지 않고 있다. 그런데 지나고 보니 부의 양극화 현상은 점차 심해지고 양질의 일자리는 감소하고 있으며 실질 실업률 해소에도 큰 도움이 안 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말은 돈을 풀었더니 푼 돈은 부동산 및 금융시장 투자에 쓰였을 뿐 실물 경제에는 온기조차 일어나지 않고 있다. 물론 이렇기에 정부 또한 최선책이 아닌 차선책으로 바라봤을 것이다. 부작용을 감안하더라도 다 죽기 보다는 일부 계층이 고통을 받는 게 낫다고 봤을 수 있다. 하지만 점점 부동산 대책 및 계층간의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인플레이션이 한계치 이상을 돌파하면 그 때는 어떻게 될 지 두고 볼 일이지만 말이다.

 

그럼 현 상황에서 당신의 투자 접근 방식은 어디에 있는가이다.

 

현재 생각할 수 있는 투자는 부동산 투자, 주식시장 투자, 금 투자, 물가연동채권 (인플레이션 대비), 비트코인 (대체 자산 투자), 현금 또는 예적금 등이 있을 수 있다.

 

몇몇 투자대가들의 글을 읽어보면 비트코인에 대한 시각이 부정적에서 긍정적으로 바뀌었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경제대가도 이럴진대 일반투자자들이 미래를 예측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가!

 

부동산 및 주식시장은 분명 많이 올랐다. 한국만 오르는 것도 아니고 전세계적으로 많이 올랐다. 앞으로도 얼마나 더 오를거냐, 미국 또는 한국을 포함한 특정 지역, 국가만 오를거냐 등 많은 의문이 남지만 현재 상황에서 더 중요하게 살펴볼 점은 과연 각국 정부가 금리인상을 시도할 엄두라도 낼 수 있는가에 있지 않을까 싶다.

 

내 생각에는 금리인상은 이제 불가능하다고 본다. 금리인상을 하게 되면 특히 미국이 감행한다면 신흥국 시장은 유동성 위기에 빠질 가능성이 너무 높다. 분명 어느 순간 금리인상 논의가 발생할 수 있지만 경제가 금리인상을 받아들일 상황이 일어나지 않을거라 본다. 문제는 인플레이션이란 변수다. 인플레이션이 크게 일어나면 결국 돈 풀기는 중대한 고비를 맞을 테고 푼 돈을 회수해 인플레이션을 막아야 한다는 논의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 미국 FED 의장은 물가 상승률이 2%를 일시적으로 넘어서라더라도 용인하겠다며 제로금리를 계속 유지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말은 현 상황은 그 어떤 부작용이 일어나더라도 경제부터 살리고 보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이다.

 

결국 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 상승은 현금 가치 하락이 계속 이뤄지는 동안 상승할 수 밖에 없고 그로 인해 버블을 맞거나 소프트랜딩을 맞을 것이라 본다. 버블을 맞으면 파국,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맞아도 파국이기에 소프트랜딩만이 답이다. 이미 각국 정부는 답을 정하고 그 하나의 결과만을 생각하고 있을 것이다.

 

고로 그런 징후가 나타나기 전까지 주식시장 및 부동산시장은 계속 (미친듯이?)상승하리라 본다.

 

필자 또한 해외 부동산이 있는데 몇 년 사이 두 배 이상 뛰었다. 앞으로도 더 뛸거라 본다. 개인적으로 세금 문제를 맞았지만 국내 부동산 시장 및 아시아 부동산 시장은 계속 과열 구간에 머무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는 아시아 대부분의 국가가 코로나 직격탄에서 다소 빗겨나 있었고 미국 및 유럽 대비 견고한 성장과 낮은 국가 부채, 재정정책에 따른 유동성 완화의 결과물일 것이다.

 

이런 재정정책의 부작용은 역시 부의 양극화, 실업률 상승인 데 필자가 코로나로 인해 한국에 들어와 부업으로 배달알바를 하며 느낀 실물 바닥 경제가 얼마나 고통스러운 지는 새삼 경험하고 있다. 돈은 도는 데에서는 돌 뿐이다.

 

돌지 않는 곳에서는 작은 돈마저도 생존을 위협할 정도로 큰 돈으로 군림하고 있다. 문제는 예전에는 이런 절박함이 정말 소수에 불과했다면 이제는 일부 계층으로 전이되고 있다는 점이다. 분명 부동산 시장과 주식시장은 새로운 역사를 써가며 계속 상승하고 있는데 일부 계층에서는 생존을 위해 돈과 싸워야 하는 상황이 게속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금과 비트코인에 대한 투자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부동산과 주식시장의 과열상태가 버블을 맞거나 인플레이션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 결국 현금과 더불어 가장 위험한 자산으로 변할 수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자산 일부를 금과 비트코인으로 돌릴 필요가 있다.

 

한국에 산다면 달러 또한 일부를 가지고 있다면 안전 자산 확보가 가능하다. 외환 투자는 사실 큰 의미는 없지만 달러는 원화 대비 자산 가치 하락을 막아줄 대안이라고 본다.

 

과연 여러분의 선택은 무엇인가? 투자자로써 2021년이 다른 어느 때 보다 무척 흥미로운 한 해가 될 듯 하다.

반응형